반응형

전체 글 36

[GCP]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CentOS root password 설정하기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하여 CentOS VM을 생성하여 외부에서 사용하고자 할때 root 계정의 password가 설정이 안되어 접근이 안될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해당 VM에 접속하여 root 계정의 password를 변경해야 한다 먼저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해당 VM에 접속해 보자 메인화면에서 [ Compute Engine ] → [ VM 인스턴스 ] 메뉴에 들어가 기존에 생성한 VM의 연결 탭에서 [ 브라우저 창에서 열기 ] 를 선택하자 그러면 아래와 같이 브라우저 창이 뜨는데 구글 계정으로 바로 접속이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상태에서 root 계정으로 변경하면 비밀번호가 틀렸다고 나오는데 처음에 비밀번호를 지정해 줘야 한다 아래와 같이 # sudo passw..

[GCP]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고정IP 설정하기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생성한 VM에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서는 고정IP를 설정해 줘야 한다 임시로 설정된 외부 IP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구글정책에 위반됐다는 메시지와 함께 VM 인스턴스를 중단시키고, 계속해서 발생하면 프로젝트 자체를 중단시키므로 외부 고정IP를 설정해 준 후에 접근해야 한다 VM 인스턴스를 아직 생성하지 않았다면 이전글을 참조해서 VM 인스턴스를 생성하자 2021.01.07 - [클라우드 플랫폼] - [GCP]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무료 서버 활용하기(CentOS) 이전 글에서 VM을 생성했다면 [Compute Engine] → [VM 인스턴스 화면에 아래와 같이] 생성된 인스턴스 정보가 나오는데 가장 오른쪽 확장버튼을 클릭해 [네트워크 세부정보 보기] 메뉴를 하면 네트워크 세부정..

[Linux] Python 컴파일 오류

CentOS에 Development Tools를 설치하려고 아래 명령어를 수행하니 Python을 설치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나왔다 #yum groupinstall "Development Tools" 1. Python 설치 일단 Python을 설치하자 Python을 새로 받아 컴파일을 수행하였다 아래 Url로 들어가 Phython Source code를 받았다 www.python.org/ Welcome to Python.org The official home of the Python Programming Language www.python.org 소스파일을 받아 linux 서버에 복사하고 컴파일을 수행하는데 오류가 발생하였다 # ./configure make 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는데 관련 패키지들..

Linux 오류 2021.03.15

CentOS svn 설정

# yum install svn 위 그림과 같이 필요한 패키지들과 subversion SVN 패키지들을 설치해 주자 설치한 후 SVN 저장소로 사용할 폴더를 아래 명령어를 통해 만들어 주자 mkdir -p [SVN 저장소 폴더 경로] 필자는 /svn/repos 로 경로를 설정하였다 # mkdir -p /svn/repos 폴더를 생성하였으면 svn 저장소를 생성하고 설정정보를 변경해 주자 svnadmin create --fs-type fsfs /svn/repos 생성된 저장소 폴더로 가면 conf 폴더가 있는데 들어가 보면 아래와 같은 파일이 있을 것이다 먼저 svnserve.conf 파일을 열어 [general] 영역의 아래 옵션들의 주석을 제거해 주자 # vi svnserve.conf [general]..

Linux 기본 2021.02.19

[GCP]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무료 서버 활용하기(CentOS)

개발 및 테스트를 하다 여러서버가 필요한데 물리적인 서버가 부족할 경우 local에 VM을 띄워 사용할 수 있으나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에서 시중에 나와있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한 점이 많다 물론 고사양의 서버를 할당받아 사용하면 좋지만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간단한 프로젝트를 수행할 경우엔 무료 서버를 할당받아 활용하면 된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GCP(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AWS(아마존 웹 서비스)가 대표적으로 알려졌는데 각 사별 장단점을 비교해보고 자신에게 맞는 플랫폼을 선택하면 된다 필자는 네이버와 구글 제품을 사용해봤는데 네이버가 셋팅하는데 있어서 편리하단 점이 있고(아무래도 국산이다 보니), 필자에게 익숙한 오픈소스들을 제공해 주는점이 있지만..

[CentOS] Linux wine 설치 2 (.Net Framework 설치 및 응용프로그램 실행)

Linux 에서 .Net 기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Net Framework를 설치하고, 테스트를 해보자 먼저 wine 64bit, 32bit가 설치 되었다는 가정하에 진행하겠다 설치가 아직 안된경우 아래글을 참조해서 설치하자 2020/11/09 - [Linux - offline(CentOS 7)/wine] - [CentOS] Linux wine 설치 1 (소스 컴파일, .Net Framework 응용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방법, yum 설치 문제점 해결) [CentOS] Linux wine 설치 1 (소스 컴파일, .Net Framework 응용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방법, yum 설치 문제점 wine을 CentOS에 설치하려면 yum repository를 활용해야 하는데 인터넷이 연결된 환경에서..

[MySQL] MariaDB Galera Cluster 실행 실패(SST rsync time out)

CentOS 7에 구성해 놓은 MariaDB galera Cluster에 새로운 노드를 추가하면서 기동시 계속 실패가 발생하여 시스템 로그를 살펴보니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었다 # vi /var/log/messages 일단 MariaDB 기동시 time out이 발생하였고 그 원인을 찾다보니 노드 추가시 galera에서 데이터를 복제해 오는 과정 즉, SST를 이용하여 rsync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양이 커서 생기는 문제인 듯 하다 기존에는 데이터 복제하는 과정을 계속 기다리는 메시지가 떳는데 버전을 업하면서 바뀐것 같다 50기가 이상의 데이터를 복제해 와야 해서 자꾸 time out이 뜨고 기동 실패라는 문구가 나왔으나 rsync 관련 프로세스는 떠있는 이상한 상황이 발생하여 kill 명령어로 다 종료..

[CentOS] wine 한글 깨짐 해결 방법

CentOS에 wine 설치 후 실행했더니 한글이 깨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인터넷이 연결된 환경일 경우 winetricks를 이용해 font를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긴하나 한글폰트가 한개 정도밖에 없어 불편한 점이 있다 그래서 Windows에 있는 폰트를 옮겨 설정하는 방법으로 해결하였다 우선 wine이 설치된 폴더의 설정파일을 열어보자 설치한 wine의 자신이 지정한 prefix에 해당하는 경로로 가보자 필자는 32bit, 64bit wine을 따로 설치하였고 prefix를 wine32, wine64로 지정하였기에 해당 경로는 /root/.wine32 /root/.wine64이다 기본 설치를 했다면 /root/.wine 일 것이다 prefix wine64 먼저 설정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wine32에도 수..

[CentOS] Linux wine 설치 1 (소스 컴파일, .Net Framework 응용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방법, yum 설치 문제점 해결)

wine을 CentOS에 설치하려면 yum repository를 활용해야 하는데 인터넷이 연결된 환경에서도 mono, gecko가 설치 되지 않는점 오래된 버전이라 64bit환경에서 winetricks를 활용하여 패키지나 프로그램 설치시 잘 안되는점 등이 발생해 소스 컴파일 방법으로 설치해 보았다 인터넷이 연결된 환경이면 winetricks를 이용해 보다 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나 CentOS에서 32bit, 64bit wine을 따로 설치하고 관리해 줘야 이상하게 꼬이는 현상을 막을 수 있겠다 wine 공식 홈페이지를 살펴봐도 CentOS관련된 내용은 한두장 뿐이고 정보가 부족하다 Fedora 쪽을 참고하는게 더 나을 것 같지만 테스트를 나중에 해봐야 알 것 같다 이것 저것 해봤지만 오프라인 CentOS..

[CentOS] local YUM Repository 만들기 - groupinstall 설정

간혹 개발도구 관련 패키지를 추가로 설치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인터넷이 가능한 online 상황이면 간편하겠지만(yum groupinstall 명령어 활용) 역시 필자는 offline 환경에서 서버를 운영해야하는 상황이라 local YUM Repository를 만들면서 yum groupinstall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을 해줘야한다 1. CentOS Full 버전 ISO파일 다운로드 / CentOS 패키지 파일 복사 먼저 CentOS 이미지 파일을 가지고 local에 YUM Repository를 구성하면 되는데 아래 CentOS local YUM Repository를 만드는 방법을 참조하면 된다 2020/09/02 - [Linux - offline(CentOS 7)/Local YUM Repo..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