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nux 기본 7

CentOS svn 설정

# yum install svn 위 그림과 같이 필요한 패키지들과 subversion SVN 패키지들을 설치해 주자 설치한 후 SVN 저장소로 사용할 폴더를 아래 명령어를 통해 만들어 주자 mkdir -p [SVN 저장소 폴더 경로] 필자는 /svn/repos 로 경로를 설정하였다 # mkdir -p /svn/repos 폴더를 생성하였으면 svn 저장소를 생성하고 설정정보를 변경해 주자 svnadmin create --fs-type fsfs /svn/repos 생성된 저장소 폴더로 가면 conf 폴더가 있는데 들어가 보면 아래와 같은 파일이 있을 것이다 먼저 svnserve.conf 파일을 열어 [general] 영역의 아래 옵션들의 주석을 제거해 주자 # vi svnserve.conf [general]..

Linux 기본 2021.02.19

[CentOS7] epel 설치(online, offline 설치)

간혹 yum 명령어로 특정 패키지 설치를 하려면 epel(Extra Packages of Enterprise Linux)설치가 필요할때가 있다. 필자는 redis 설치를 위해 필요했는데 다른 패키지들 설치시에도 유용할 듯 보인다. epel에 있는 패키지들은 사이트에 접속하면 확인해볼 수 있다.(2번 내용 참조) 1. 인터넷이 되는 환경 # yum install epel-release CentOS7 의 기본 yum repository에는 버전이 7-11 이다. 설치해도 무방하나 최신버전을 받으려면 아래와 같이 수행하면 된다. # yum install https://dl.fedoraproject.org/pub/epel/epel-release-latest-7.noarch.rpm 2. 인터넷이 불가한 환경 ht..

Linux 기본 2020.10.05

[CentOS7 무선랜] IPTIME USB 무선랜카드 활용하기(수정중)

노트북에 GUI버전으로 설치한 Linux는 무선랜인식이 잘된다 그러나 워크스테이션에 설치한 CentOS에서는 인식이 잘안되는 것 같아 설치 및 설치방법을 알아보자 1. USB 인식확인 먼저 USB가 인식이 되는지 확인해보자 내가 가지고 있는 USB 무선랜은 ipTIME N150UA_Solo 라는 모델이다 USB 랜카드를 꽂아보고 lsusb 명령어를 쳐보니 USB는 인식이 잘되는 듯 하다 # lsusb 제일 첫번째로 나오는 Wireless Adapter 가 무선랜카드인데 # ip a or # ip addr 명령어를 쳐보니 네트워크는 안잡히는 상황이다 2. 드라이버 다운로드(Linux용) 먼저 해당 무선랜카드의 드라이버를 설치해야하는 듯 하니 아래 iptime 홈페이지에 들어가 linux용 드라이버를 검색해..

Linux 기본 2020.09.10

[CentOS] 부팅시 네트워크 자동시작 설정

부팅시 네트워크가 자동으로 연결안될 경우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명] 파일을 열어보면 ONBOOT=no 로 되어있을 것이다 ONBOOT 값을 yes 로 수정하고 재부팅하면 잘 동작한다 먼저 자신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명을 확인해 보자 # ifconfig 필자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명은 enp2s0이어서 아래와 같이 입력 후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p2s0 ONBOOT 변수 값을 yes로 바꿔 주었다

Linux 기본 2020.09.10

Windows Linux(CentOS 7) 멀티부팅

윈도우 os가 설치된 노트북에 Linux도 사용할 수 있게 설정하고자 한다 필자의 노트북은 Windows7이 설치된 상태이고(Windows 10도 방법은 다르지 않다), CentOS 7을 설치하여 멀티부팅을 할 수 있게 구성하기로 한다 노트북이라 CD로 CentOS를 설치해도 되나 미리 만들어둔 CentOS 설치 USB가 있어 그것을 이용하였다 CD든 USB든 미리 CentOS 부팅 USB를 만들어 두자(rufus 프로그램 활용) 1. CentOS 설치 공간 확보 일단 Windows 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관리 도구 -> 컴퓨터 관리 메뉴로 들어간다(Windows 10은 컴퓨터 관리로 검색하면 나올 것이다 컴퓨터 관리에서 아래쪽 저장소 -> 디스크 관리 를 선택하면 현재 디..

Linux 기본 2020.09.10

Linux 디스크 용량 확인 명령어

1. df 명령어 각 파일이 있는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 표시 df -h : 보기 편하게 표시 df . : 현재 디렉토리가 있는 파티션의 남은 용량 표시 2. du 명령어 각 파일의 디스크 사용량 표시 du -h : 보기 편하게 표시(G, M, K 바이트 단위로 표시) du -a : 파일단위로 표시 du -s : 현재 디렉토리의 총 사용량 표시 du 명령어만 수행하면 하위 모든 디렉토리까지 출력되어 보기 힘들다. du -sh : 현재 디렉토리의 총 사용량 표시 du -sh * : 한단계 하위 디렉토리까지 표시 위 두 명령어 위주로 쓰도록 하자

Linux 기본 2020.08.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