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CP 4

[GCP] 구글클라우드플랫폼 VM머신 접속 설정하기

구글클라우드플랫폼에서 생성한 VM머신에 puty와 같은 터미널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ssh 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설정이 필요하다 GCP의 머신간 접속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면 된다 아래와 같이 크게 3단계의 과정이 필요하다 VM머신에 접속할 대상으로 local PC라고 표현했다 1. local PC 에서 RSA Private-Public Key 생성 2. 원격 GCP 서버에 Local PC의 private-key 등록 3. gcp 메타데이터에 ssh public key 등록 1. RSA Private-Public Key 생성(local PC) 먼저 local PC에서 ssh key를 생성하자 local PC의 OS가 linux면 아래와 같이 수행하고 Wndows면 putty를 이용해서 key ..

[GCP]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CentOS root password 설정하기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하여 CentOS VM을 생성하여 외부에서 사용하고자 할때 root 계정의 password가 설정이 안되어 접근이 안될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해당 VM에 접속하여 root 계정의 password를 변경해야 한다 먼저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해당 VM에 접속해 보자 메인화면에서 [ Compute Engine ] → [ VM 인스턴스 ] 메뉴에 들어가 기존에 생성한 VM의 연결 탭에서 [ 브라우저 창에서 열기 ] 를 선택하자 그러면 아래와 같이 브라우저 창이 뜨는데 구글 계정으로 바로 접속이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상태에서 root 계정으로 변경하면 비밀번호가 틀렸다고 나오는데 처음에 비밀번호를 지정해 줘야 한다 아래와 같이 # sudo passw..

[GCP]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고정IP 설정하기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생성한 VM에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서는 고정IP를 설정해 줘야 한다 임시로 설정된 외부 IP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구글정책에 위반됐다는 메시지와 함께 VM 인스턴스를 중단시키고, 계속해서 발생하면 프로젝트 자체를 중단시키므로 외부 고정IP를 설정해 준 후에 접근해야 한다 VM 인스턴스를 아직 생성하지 않았다면 이전글을 참조해서 VM 인스턴스를 생성하자 2021.01.07 - [클라우드 플랫폼] - [GCP]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무료 서버 활용하기(CentOS) 이전 글에서 VM을 생성했다면 [Compute Engine] → [VM 인스턴스 화면에 아래와 같이] 생성된 인스턴스 정보가 나오는데 가장 오른쪽 확장버튼을 클릭해 [네트워크 세부정보 보기] 메뉴를 하면 네트워크 세부정..

[GCP]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무료 서버 활용하기(CentOS)

개발 및 테스트를 하다 여러서버가 필요한데 물리적인 서버가 부족할 경우 local에 VM을 띄워 사용할 수 있으나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에서 시중에 나와있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한 점이 많다 물론 고사양의 서버를 할당받아 사용하면 좋지만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간단한 프로젝트를 수행할 경우엔 무료 서버를 할당받아 활용하면 된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GCP(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AWS(아마존 웹 서비스)가 대표적으로 알려졌는데 각 사별 장단점을 비교해보고 자신에게 맞는 플랫폼을 선택하면 된다 필자는 네이버와 구글 제품을 사용해봤는데 네이버가 셋팅하는데 있어서 편리하단 점이 있고(아무래도 국산이다 보니), 필자에게 익숙한 오픈소스들을 제공해 주는점이 있지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