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6

[mariadb galera] mysql.service start operation timed out. Terminating

mysql.service start operation timed out. Terminating galera로 클러스터링해놓은 상태로 동기화 시키는데 자꾸 타임아웃관련 메시지를 뿌리며 실행이 되지 않는다 vi /var/log/messages를 확인해보니 Aug 18 16:20:48 mg-node02 mysql: Starting MariaDB.200818 16:20:48 mysqld_safe Logging to '/home/data/mysql/error.log'.Aug 18 16:20:48 mg-node02 mysql: 200818 16:20:48 mysqld_safe Starting mysqld daemon with databases from /home/data/mysqlAug 18 16:20:53 mg-..

mysql 'The table is full', error code : 1114

2020-08-17 14:01:03 2 [ERROR] InnoDB: preallocating 32505856 bytes for file [DB파일명(ibd파일)] failed with error 28 2020-08-17 14:01:03 2 [ERROR] mysqld: The table '[테이블명]' is full 2020-08-17 14:01:03 2 [ERROR] Slave SQL: Could not execute Write_rows_v1 event on table [테이블명]; The table '[테이블명]' is full, Error_code: 1114; handler error HA_ERR_RECORD_FILE_FULL; the event's master log FIRST, end_log_po..

MariaDB Galera GRA_ log파일

Galera clustering 해놓은 서버에 계속 GRA_ 로그파일이 생성된다 로그파일을 열어보니 복제하는 쿼리에 해당하는 내용이 적혀있다 검색해 보니 슬레이브 스레드가 트랜잭션을 적용 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고 한다. 각 파일에 대해 해당 경고 또는 오류 메시지가 mysql 오류 로그 파일에 표시된다고 하는데 기존에 계속 발생하는 warning 경고에 해당하는 내용같다. 이는 잘못된 DDL문(존재하지 않는 테이블 DROP)과 같은 오탐일 수도 있으므로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좋을 듯 싶다. 해당 로그파일은 원인에 대한 로그기 때문에 지워도 무방하다 해당하는 로그의 쿼리가 실행되는 부분을 찾아 프로그램을 수정해야할 듯 하다

mariadb, mysql ignored in --skip-name-resolve mode 경고

2020-08-11 16:37:16 1165324 [Warning] 'user' entry 'root@mariadb-node03' ignored in --skip-name-resolve mode. 2020-08-11 16:37:16 1165324 [Warning] 'user' entry 'root@localhost.localdomain' ignored in --skip-name-resolve mode. 2020-08-11 16:37:16 1165324 [Warning] 'proxies_priv' entry '@% root@mariadb-node03' ignored in --skip-name-resolve mode. 운영하는 데는 당장 큰 영향이 없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MariaD..

Linux 디스크 용량 확인 명령어

1. df 명령어 각 파일이 있는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 표시 df -h : 보기 편하게 표시 df . : 현재 디렉토리가 있는 파티션의 남은 용량 표시 2. du 명령어 각 파일의 디스크 사용량 표시 du -h : 보기 편하게 표시(G, M, K 바이트 단위로 표시) du -a : 파일단위로 표시 du -s : 현재 디렉토리의 총 사용량 표시 du 명령어만 수행하면 하위 모든 디렉토리까지 출력되어 보기 힘들다. du -sh : 현재 디렉토리의 총 사용량 표시 du -sh * : 한단계 하위 디렉토리까지 표시 위 두 명령어 위주로 쓰도록 하자

Linux 기본 2020.08.11
반응형